오래된 가구,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을 버려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턱대고 밖에 내놓으면 과태료를 물게 됩니다. 마포구에서는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인터넷으로 신고해야만 수거해 가는데요. 오늘은 마포구 대형폐기물 배출 절차와 가격, 그리고 간편한 인터넷 신고 방법을 모두 알려드릴게요.
마포구 대형폐기물 배출 절차
마포구에서 대형폐기물을 버리려면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온라인 신고를 이용하면 스티커를 사러 갈 필요 없이 집에서 모든 과정을 마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보:
- 1단계: 품목 확인 및 수수료 확인:
- 버릴 물건의 종류와 규격을 확인하고, 마포구청 홈페이지에서 품목별 수수료를 확인합니다.
- 2단계: 신고 및 결제:
- 마포구청 대형폐기물 온라인 신고 시스템이나 주민센터를 통해 배출 신고를 합니다.
- 신고 후, 안내된 수수료를 결제하면 됩니다.
- 3단계: 지정된 장소에 배출:
- 신고 시 지정한 배출 날짜에 맞춰 물건을 집 밖 지정된 장소에 내놓으면 됩니다.
- 주의사항: 신고하지 않고 무단으로 배출하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가격과 온라인 신고 방법
대형폐기물 수수료는 품목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 표는 자주 버리는 품목의 수수료 예시입니다. (아래 요금은 2025년 기준 예시이며, 실제 요금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보:
품목 (예시) | 수수료 (2025년 기준) |
---|---|
침대 (더블) | 12,000원 |
소파 (3인용) | 10,000원 |
책상 (중형) | 4,000원 |
전자레인지 | 3,000원 |
배출 시 주의사항과 꿀팁
대형폐기물 배출 시 몇 가지 규칙을 지키면, 깨끗한 환경을 만들고 과태료도 피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보:
- 배출 시간:
- 신고한 날짜의 전날 저녁에 지정된 장소에 내놓아야 합니다.
- 배출 장소:
- '집 앞', '건물 내'가 아닌,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지정된 장소(쓰레기 배출 장소)에 두어야 합니다.
- 온라인 신고 꿀팁:
- 온라인으로 신고하면 스티커를 사러 갈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특히 배출 품목이 많을 경우, 리스트를 보면서 정확한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 대형가전 무료 수거: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대형 가전제품은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화 1599-0903)
📌 참고: 마포구 대형폐기물 관련 외부 링크
- 마포구청 대형폐기물 신고: 마포구 대형폐기물 온라인 신고
-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대형 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
- 마포구청 청소행정과: 전화번호 02-3153-9200 – 대형폐기물 관련 문의
❓ Q&A
Q. 폐기물 스티커를 붙이지 않고 버리면 어떻게 되나요?
A. 대형폐기물 스티커 없이 무단으로 버리면 불법 투기로 간주되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Q. 대형가전제품도 돈을 내고 버려야 하나요?
A. 아니요. 냉장고, 세탁기, TV 등 대형가전은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버릴 수 있습니다.
Q. 이불이나 베개도 대형폐기물인가요?
A. 네. 부피가 큰 이불, 베개, 커튼 등은 '특수규격 마대'에 담아 버려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세한 배출 방법은 마포구청 홈페이지를 확인하세요.
마무리
마포구의 대형폐기물 배출은 조금만 신경 쓰면 아주 쉽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올바르게 배출하고,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동참해 주세요. 다음 4편에서는 '마포구 보건소 건강검진 & 무료 예방접종'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