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영화 <84제곱미터>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룬 '영끌족' 우성(강하늘)이 겪는 예측불허의 층간소음 스릴러입니다. 김태준 감독이 연출하고 강하늘, 염혜란, 서현우 등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하여 기대를 모았던 작품이지만, 층간소음이라는 현실적인 소재로 시작해 중후반부로 갈수록 스토리가 급변하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초반의 몰입감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결말까지 보고 나면 찜찜한 기분을 지울 수 없는 영화였습니다.
층간소음 현실 공감대 좋았지만 딱 거기까지!
영화 <84제곱미터>는 제목 그대로 국민 평형인 84제곱미터 아파트를 배경으로, 평범한 직장인 우성이 겪는 층간소음의 악몽을 생생하게 그려냅니다. '영끌'해서 겨우 장만한 내 집에서 밤마다 들려오는 정체불명의 소음은 우성의 일상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죠. 고금리 대출 이자를 감당하며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우성의 모습은 현시대 '영끌족'의 불안감을 그대로 대변하며 초반에는 깊은 공감을 자아냈습니다. 믹서기 소리, 헬스 기구 소리, 피아노 소리 등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소음들이 우성의 정신을 잠식하는 과정은 매우 현실적이었고, 저 역시 층간소음 문제를 겪어본 적이 있기에 영화 초반의 몰입감은 상당했습니다.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한 개인의 삶을 파괴할 수 있는 층간소음의 현실적인 공포를 잘 담아내는 듯 보였죠. 하지만 이런 기대감은 중후반부로 갈수록 무참히 깨졌습니다. 현실적인 층간소음 이슈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스토리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급발진하며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전개를 이어갔습니다. 초반의 치밀함은 사라지고 개연성 없는 내용들이 이어지면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피해자로서 우성의 감정선조차 제대로 따라갈 수 없게 됩니다. 현실 밀착형 스릴러를 기대했었는데 오히려 실망감을 안겨주는 전개로 영화 보는 내내 물음표를 가질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해하기 힘든 캐릭터들의 엇난간 연대
<84제곱미터>는 층간소음이라는 표면적인 갈등 아래,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광기를 파헤치려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아파트라는 공간이 부와 성공을 상징하며 인간의 욕망을 부추기는 모습을 그리려 했겠지만, 그 시도는 아쉽게도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전직 검사 출신이자 아파트를 지키려는 입주민 대표 은화(염혜란) 캐릭터는 초반에는 우성을 압박하며 극의 긴장감을 끌어올리는 듯했습니다. 집값 때문에 층간소음 문제를 덮으려는 그녀의 모습은 현실적이기도 했죠. 하지만 그녀를 포함한 다른 캐릭터들의 행동은 점점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변질됩니다. 우성이 소음의 범인으로 몰리면서 극한의 상황에 직면하고 무리한 투기까지 감행하며 파멸로 향하는 과정은 지나치게 비약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인물들의 심리 변화가 개연성 없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지면서, 그들의 욕망과 광기가 설득력을 잃고 억지스러움만 남게 됩니다. 가장 안전하고 편안해야 할 보금자리가 오히려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고 갈등을 증폭시키는 이중적인 공간으로 그려진다는 점은 좋았으나, 이를 풀어내는 방식이 너무나 아쉬웠습니다. 마치 퍼즐 조각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엉망진창으로 섞여버린 느낌이었습니다. 영화가 전하려는 메시지를 캐릭터들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이 방해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믿고 보는 배우들의 열연, 발목잡은 스토리
<84제곱미터>는 강하늘, 염혜란, 서현우 등 연기력으로는 나무랄 데 없는 배우들의 뛰어난 열연에도 불구하고 스토리가 그 빛을 발하게 하지 못했다는 점이 가장 아쉬운 부분입니다. 강하늘 배우는 층간소음으로 인해 점차 피폐해져 가는 우성의 심리 변화를 섬세하면서도 폭발적인 연기력으로 소화해내며 극의 중심을 잡으려 애썼습니다. 그의 불안하고 예민한 눈빛연기를 보면서 우성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게 만들었죠. 염혜란 배우 역시 전작들과는 또 다른 결의 캐릭터인 권력형 부자 은화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그녀의 차갑고 계산적인 면모는 분명 초반에는 긴장감을 한층 더 끌어올렸습니다. 서현우 배우 역시 우성의 이웃으로 등장하여 극에 미스터리함을 더하는 역할을 훌륭히 해냈습니다. 그러나 김태준 감독의 연출은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를 십분 활용하지 못한 채, 층간소음이라는 일상적인 소재를 스릴러 장르로 확장하는 데 실패한 것처럼 보입니다. 배우들이 아무리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해도, 이해할 수 없는 스토리라인과 개연성 없는 전개는 그들의 노력을 퇴색시켰습니다. 배우들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몰입도가 떨어지고, 영화 속 인물들의 감정선에 깊이 빠져들기 어려웠던 것은 전적으로 스토리의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84제곱미터>는 층간소음이라는 현실적인 사회 문제를 스릴러로 풀어내려 했지만, 결국 그 시도가 미흡했던 아쉬운 작품으로 남았습니다. 초반의 현실적인 공감대는 좋았으나, 중후반부로 갈수록 길을 잃은 듯한 스토리 전개와 납득하기 어려운 캐릭터들의 행동은 영화를 보는 내내 뭔가 불편한 감정을 갖게 했습니다. 최근에 본 영화 '노이즈'와 비교했을 때, '노이즈'가 층간소음이라는 소재를 훨씬 더 효과적이고 짜임새 있게 그려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믿고 보는 강하늘 주연 영화였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네이버 평점과 혹평이 많았던 이유를 여실히 보여주는 작품이었습니다.